[북리뷰] Review of 〈봉준호 장르가 된 감독〉
[북리뷰] Review of 〈봉준호 장르가 된 감독〉
  • Darcy Paquet 달시파켓
  • 승인 2020.08.04 11: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Now we are all living in the age of Bong Joon Ho.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n Korea, the unprecedented success and global acclaim won by Parasite has rewritten all prior beliefs about what is possible or not possible for a Korean film to achieve. Now, it seems, anything is possible. But it is not only in Korea that this single film has come to represent filmmaking in the present day. Worldwide as well, if you ask film critics, festival programmers, young film directors, or cultural scholars which film from the past 12 months broke new boundaries and pushed the art of cinema in exciting new directions, Parasite would easily top the poll. It'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t represents the current state of world cinema.

  Suddenly, everybody wants to write about Bong Joon Ho. Critics are searching out his earlier films, doing close analysis and trying to trace his artistic development. Self-proclaimed Bong Joon Ho experts are sprouting around the world like fruits on a persimmon tree in October.

  But in the field of film criticism, there is real value to the patient, long-term observation of a filmmaker like Bong Joon Ho moving through the arc of his career. There are the early student works, which if a director is talented, stand out in some way from the work of his peers. There is the feature film debut, when some aspects of a director’s individual style will be visible, but nobody can predict which aspects of this style will develop further, and which will be left behind. There are successes and failures, in both a commercial and an artistic sense, and the question of how the filmmaker will respond to setbacks. Finally, there is the time when a filmmaker enters into the middle part of his career, and we begin to get a true sense not only of what he is capable of achieving, but what place he will occupy in the spectrum of world cinema, and how he will influence other filmmakers.

  One of the strengths of JEON Chanil’s Bong Joon Ho, the Director who has become a Genre is that we can feel on each page that the author has been following and writing about Bong Joon Ho over the entire course of the director’s 20-year career.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work of critics who retroactively study the early part of a director’s care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day, and those who have lived through those years when nothing was certain, when each new development in the director’s style was being discovered and written about in real time.

  This book, which is the first of two works about Bong Joon Ho that are supposed to be published by JEON Chanil in this year, is ideal for readers who wish to learn the full breadth of Bong’s career with the guidance of an experienced critic. It contains reviews of all seven of the feature films, from Barking Dogs Never Bite (2000) up to Parasite (2019), as well as of the various shorter works Bong has shot over the years, including his student works from the 1990s (Incoherence, his 1994 graduation work from the Korean Academy of Film Arts being the prime example) and mid-career works such as Shaking Tokyo, Bong’s contribution to the 2008 omnibus film Tokyo! There are three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in 2010, 2014, and 2019 respectively.

  There are also three essays which, in different ways, each provide another perspective on Bong’s accomplishments. What should be learned from Bong Joon Ho are his attitude and values rather than his competence was written in the aftermath of Bong’s triumph at the Oscars, and provides some interesting food for thought on what allowed him to become so successful. Three Asian Masters who refuse to become the Slaves of Style…the Common Grounds of Bong Joon Ho -Jia Zhangke-Makhmalbaf was written in 2013, and places Bong’s work in the context of other masters of Asian cinema. There is also the article Will Director Bong send us the Good News? The 72th Cannes Film Festival previewed, written in May 2019 just before Parasite’s world premiere, which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Bong winning a major award at Cannes. Of course, we know now that Bong would become the first Korean director to win Cannes' top award, but reading this article gives us some perspective on Bong’s place within world cinema just before Parasite would push him to the next level.

  Finally, there is an extended prologue which considers Bong’s career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including his place with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and his relation to other great Korean directors of the present day. And the book concludes with an epilogue that goes more in depth into the nature of Bong’s style, his “The Aesthetics of the Abnormal”, and the way in which Bong’s experimentations with genre have ultimately led to him becoming somewhat of a genre unto himself. It is this section which perhaps may provide the best preview of what we can expect in JEON Chanil’s second book on Bong Joon Ho to be published later this year.

  Perhaps more so than for any other contemporary Korean director, many films by Bong Joon Ho are remembered not only as interesting and entertaining works of art, but as events that sparked a nationwide discussion. Memories of Murder(2003), The Host (2006), Snowpiercer(2013) and Parasite each in their own way felt completely new and groundbreaking, and broke through to a wide audience. The issues they raised felt relevant to the lives of its viewers, and provoked various kinds of debate. Anyone who has lived in Korea over the past two decades and taken part in its cultural life will remember these films, even if they haven’t seen them, in the way one remembers landmarks passed in the course of a journey.

  The kind of reader who is most likely to benefit from this book are those who have vivid but partial impressions of Bong’s career and his contributions to Korean(and world) cinema. Bong Joon Ho, the Director who has become a Genre will fill in the missing spaces, and provide a more complete picture of Bong’s career. It may inspire readers to go back and watch the films of Bong’s that they missed, but it will also give them the ability to see each work within the context of a broader narrative: the story of a filmmaker who was constantly pushing himself, and pushing the Korean film industry as a whole, to move beyond past accomplishments and achieve something new.

  It's true that those looking to burrow deep into individual films for exhaustive analysis of all the smaller details and references for which Bong is famous will find only bits of it in this book. Nonetheless, before plunging into the depths of Bong’s films, one needs to have a sense of the entirety of his career and accomplishments. It’s this sense of completeness that this book provides, and for a work that can be held comfortably in one hand, it is considerably successful in doing so.

 


   현재 우리는 모두 봉준호의 시대에 살고 있다. 한국에서 <기생충>이 거둔 유례없는 성공과 세계적인 찬사가, 한국영화가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과 불가능에 대한 이전의 모든 믿음을 다시 쓴 것은 두말 할 나위도 없다. 다시 말해 이제는, 무엇이든 가능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단 하나의 영화가 오늘날의 영화만들기를 대표하게 된 것은 비단 한국에서만의 일은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영화평론가, 축제기획자, 젊은 영화감독들이나 문화학자들에게 지난 12개월간 어떤 영화가 새로운 경계를 허물고 흥미로운 새 방향으로 영화 예술을 밀어붙였나 물어본다면, 아마 <기생충>은 쉽게 1위를 차지할 것이다. 감히 세계 영화의 현 상태를 대변한다고 해도 과장이 아니다.

  갑자기 모두가 봉준호에 대해 쓰고 싶어 한다. 비평가들은 그의 전작들을 찾아보며 면밀히 분석하는 동시에 그의 예술적 발전을 추적하려 노력하고 있다. 마치 10월의 감나무가 열매 맺듯, 자칭 봉준호 전문가들이 세계 곳곳에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영화 비평분야에서는 봉준호와 같은 영화감독이 커리어를 쌓아가는 과정을 인내심을 갖고 장기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진정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초기의 학생시절 작품들이 있는데, 감독이 재능이 있다면 분명 동료들의 작품과는 차별화 되어 보였을 것이다. 장편영화 데뷔 때는 감독 개인의 스타일이 어느 정도 가시화는 되겠지만, 이런 스타일의 어떤 면들이 더 발전하고 어떤 면들이 뒤로 버려질지는 그 누구도 예측하기 힘들다. 상업적 의미에서건 예술적 의미에서건 성공들과 실패들이 있기 마련이고, 영화감독이 좌절들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영화감독이 자신의 경력 중반에 접어들 때 우리는, 그의 능력뿐만이 아니라 세계 영화의 대열에서 그가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다른 영화감독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끼치게 될 지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기 시작한다.

  전찬일 평론가의 책 『봉준호 장르가 된 감독』의 강점 중 하나를 꼽자면 저자가 봉준호 감독의 20년 경력 내내 그를 추적하며 글을 써왔다는 것을, 우리가 각 페이지 페이지마다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감독의 초기 경력에 대해 회고적으로 연구한 비평가들의 글과, 그 어떤 것도 확실하지 않고 감독 스타일의 진척 하나 하나가 발견되는 시간을 겪은 비평가들이 실시간으로 쓴 글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올해 전찬일 평론가가 출간하기로 돼 있는 봉준호에 관한 두 권의 책 중 첫 권인 이 책은, 경험이 풍부한 평론가의 가이드로 봉준호의 커리어 그 전체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독자들에게 이상적이다. 이 책에는 <플란다스의 개>(2000)부터 <기생충>(2019)에 이르기까지 7편의 장편영화뿐 아니라 1990년대 학생 때의 작품들(<지리멸렬>, 1994년 한국영화아카데미 졸업 작품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2008년 옴니버스 영화 <도쿄!>에 참여한 <흔들리는 도쿄>와 같은 중기작 등 봉 감독이 수년간 촬영한 다양한 단편들의 리뷰도 실려 있다. 세 차례의 인터뷰들도 있는데, 각각 2010년과 2014년, 2019년에 진행되었다.

  또한 봉 감독의 성취에 대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세 편의 에세이가 있다. 봉 감독의 오스카상 수상 이후 쓰인 “봉준호에게 배울 점은 실력보다 태도·가치관”은 무엇이 봉 감독으로 하여금 그렇게 성공할 수 있게 해주었는지에 대해 흥미진진한 생각거리를 던져준다. 2013년에 쓰인 “‘스타일의 노예’ 거부하는 아시아영화 세 거장…봉준호-지아장커-마흐말바프의 공통점”은 봉 감독의 작업을 다른 아시아 영화 거장들과의 맥락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기생충>의 월드 프리미어 직전인 2019년 5월에 쓰인 “봉 감독은 낭보를 전할 것인가? 미리 보는 제72회 칸영화제”라는 아티클도 있는데, 봉 감독이 칸에서 주요 상을 수상할 가능성을 진단한다. 이제 봉준호 감독이 칸 최고상을 거머쥔 최초의 한국 감독이라는 사실은 자명해졌으나, 이 글을 읽으면 <기생충>으로 인해 봉준호 감독의 입지가 그 다음 단계로 끌어올려지기 바로 전의, 세계 영화계에서의 그의 입지를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

  마침내 봉 감독의 이력을 한국영화 내에서의 위치, 현시대 다른 거물 감독들과의 관계 등 다양한 관점에 두고 바라본, 확장된 프롤로그가 있다. 그리고 책은 에필로그로 끝을 맺는데, 그것은 봉준호 스타일의 본질인 “비정상의 미학”과, 결국은 그 스스로를 하나의 장르에 이르게 한 실험 방식에 더 깊숙이 파고든다. 이 부분은 올해 안에 또 출간될 전찬일의 두 번째 봉준호 관련 저서에서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예고편이 될 것이다.

  아마 현대의 다른 어떤 한국감독보다도 봉준호 감독의 영화들은 흥미롭고 즐거운 예술작품일 뿐 아니라, 전국적 논의를 유발시킨 사건들로 기억될 것이다. <살인의 추억>(2003), <괴물>(2006), <설국열차>(2013) 그리고 <기생충>을 떠올려 보면 하나하나가 각 나름대로 완전히 새롭고 기념비적인 느낌으로 다가섰다. 그 영화들이 제기한 쟁점들은 관객들의 삶과 맞닿아 있었고, 다양한 종류의 토론을 불러 일으켰다. 지난 20년간 한국에 살았고 문화를 향유한 사람이라면, 설사 보지 못했더라도 이 영화들을 기억할 것이다. 여행 중 관광명소를 지난 것을 기억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 책을 읽음으로써 가장 혜택을 받을 법한 독자들은 봉 감독의 경력과 한국 (및 세계) 영화에 그가 공헌한 바에 대해 생생하지만 부분적인 인상만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일 것이다. 『봉준호 장르가 된 감독』은 빠진 부분을 메우고 봉준호의 경력에 대해 좀 더 완성된 그림을 제공할 것이다. 독자들로 하여금 보지 못했던 봉준호의 영화들을 보도록 영감을 줄 수도 있지만, 지속적으로 자신과 한국영화 산업이 이뤄놓은 성과를 넘어서서 새로운 것을 이룰 수 있도록 밀어붙이는 한 영화감독의 이야기라는 더 큰 서사의 맥락 안에서 각 작품을 볼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사실 왜 봉 감독이 유명한지에 대해, 각각의 영화에 대해 세밀한 디테일과 언급에 대해 끊임없이 분석하는 사람들은 이 책에서 그러한 점들을 조금밖에 찾지 못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 봉 감독의 영화 속으로 깊이 파고들기 전 그의 경력과 업적 전반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를 해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이 책이 제공하는 ‘완성도’이며, 이 책은 한 손에 편안히 들 수 있는 한 작품으로서도 그 역할을 성공적으로 해낸다.

번역 박선옥

 

 

* 《쿨투라》 2020년 7월호(통권 73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