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리뷰] 이전을 기억하며 이후로 떼는 걸음: 백지은 비평집 『건너는 걸음』
[북리뷰] 이전을 기억하며 이후로 떼는 걸음: 백지은 비평집 『건너는 걸음』
  • 양진호(본지 에디터)
  • 승인 2021.11.02 01: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학평론가 백지은이 두 번째 비평집 『건너는 걸음』을 출간했다. 2007년 《세계의 문학》을 통해 글을 발표하며 비평 활동을 시작한 백지은은 읽는 사람으로서, 그리고 쓰는 사람으로서 시대에 비추어 문학을 읽어 내고 문학에 기대어 시대를 써 내려간다. 두 번째 비평집에는 그가 지난 7년여 간 그렇게 쓴 평론들이 모여 있다.

  2021년 한국에 사는 사람이 현재를 어떤 ‘이후’로 감각하는 일은 전혀 특이한 것도, 예외적인 일도 아닐 것이다. 우리는 모두 지속적으로,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감각’을 느낀다. 전세계적 변화이자 흐름인 코로나19, 미투 운동부터 한국 국민들에게 삶의 돌출점 혹은 절단면이 된 촛불 집회, 세월호 같은 사건들을 포함하여, 우리의 삶은 계속 분리되거나 깨어진다. 이때 문학은 어디에 서 있을까? 어느 쪽으로 걸어가려 할까?

  백지은은 읽는 사람으로서, 그리고 쓰는 사람으로서 시대에 비추어 문학을 읽어 내고 문학에 기대어 시대를 써 내려간다. 두 번째 비평집 『건너는 걸음』에는 그가 지난 7년여 간 그렇게 쓴 평론들이 모여 있다. 어딘가를 넘어서 건너가는 일, 그리고 걸어온 길을 계속해서 걷는 일은 과거를 이전에 붙박거나 지우는 동작이 아니라 과거로부터 이어진 이후를 수색하려는 활동이다. 문학과 비평의 걸음은 이전과 이후, 양쪽의 사이를 벌리기보다 가로지른다. 이전을 기억하며 이후로 떼는 걸음. 그것은 비평가의 손에 들린 펜과 같다. 그 펜에 의해 쓰인 글을 통해 우리는 문학을 더 오래 되돌아보고 삶을 더 넓게 걸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는 총 30편의 글이 6부에 걸쳐 5편씩 배치되어 있다. 1부에는 2014년 봄 이후, 세월호 사건을 침묵 속에 목격했던 우리가 다시 입을 열고 글을 쓰기로 결심했을 때, 그 단절과 연결에 대해 쓴 글들이 모여 있다. 2부는 페미니즘 리부트를 건너며 여성 서사의 중요성을 실감한 글들이 수록되었다.

  한강의 장편소설 『소년이 온다』는 ‘5월 광주’에 관한 이야기지만 여러 지면에서 ‘4월 세월호’에 관한 이야기로 읽히곤 했다. 두 사건 사이의 유사성을 직감할 때 자연스러운 독법일 것이다. 그렇다면 황정은의 『야만적인 앨리스씨』(2013)를 펴 들고 “배에서도, 육지에서도, 공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는 사실을 떠올리는 것, “고통과, 고통을 대면하는 시선이며 목소리며 하는 것들. 그리고 고통의 편에 서는 일에 과연 유력한 가능성 같은 게 있을지 생각했다. 그래야 할 것 같았다.”라고 고백하는 일은 어떤가. 그 소설들의 출간 시점이 일러주듯 세월호 사건과는 무관하게, 국가가 국민을 저버렸던 과거의 참상을 이야기했고 강력한 고통에 휩싸인 한 인간의 상태를 말했던 것이, 공교롭게도 세월호 사건과 겹치는 주제로 얘기되었을 뿐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렇게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 소설들에서 특정한 주제를 다루었다기보다 어떤 주제들의 장 속에서 그런 소설들이 나온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 본문 36~37쪽

  1부에는 2014년 봄 이후 세월호 사건을 침묵 속에 목격했던 우리가 다시 입을 열고 글을 쓰기로 결심했을 때 그 단절과 연결에 대해 쓴 글들이 모여 있다. 1부를 여는 첫 글은 봉준호 감독의 영화 〈괴물〉의 장면을 통해 2014년의 세월호 사건을 묻는다. 사건 이후 쏟아져 나온 박민규, 김애란, 황정은 작가의 글쓰기와 최은영의 작품을 통해 문학이 쓰이고 읽히는 자리가 휘청이는 것을 본다. ‘바다’ ‘여행’ ‘광장’ ‘합동 분향소’ 같은 단어가 2014년 이후 우리에게 어떻게 다르게 다가오는지에 대해 이전과 이후의 차이를 기록한다.

  2010년대 후반 현재,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을 비롯한 최근의 여성 소설들, 예컨대 강화길, 김혜진, 박민정, 정세랑, 최은영 등의 여성 작가들이 ‘여성의 삶’을 주체화하여 쓴 소설이나 한국의 남성적 문화에서 만연한 (성)폭력을 다룬 소설 등이 ‘페미니즘 문학’으로 호명되고 이해되는 배경이나 이유가 문학 담론장의 흐름과 더불어 설명될 필요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현재 문학장 안팎을 막론하고 활기차게 번져 가는 이런 시도들과 분위기가 유례없이 나타난 일시적 사태도, 우연히 형성된 돌발적 현상도 아닌 만큼이나, ‘페미니즘 문학’의 흐름/진행/전진이 갑작스러운 열기인 것도, 오직 현재적 사건인 것도 아니다. 최소한 지난 일이십 년간 한국문학에서 ‘여성성’, ‘여성 문제’ 등을 키워드로 했던(혹은 하지 않았던) 논의들은 현재적 상황과 더불어 재고(再考)되어야 한다. 과연 한국문학은 내내 여성 문제에 무관심하다가 이런저런 사회적 맥락 속에서 부각된 페미니즘 이슈에 이제 막 부응하기 시작한 것인가?
  - 본문 137쪽

  2부는 페미니즘과 여성 서사의 중요성에 대한 글들이 수록됐다. 백지은은 사회적으로 거세게 일어난 폭로 운동인 ‘미투 운동’을 통과하며 페미니즘 문학과 담론이 어떻게 구성됐는지 그 맥락을 살핀다. 2010년대에 출간돼 현재까지 독보적인 문학 베스트셀러인 『82년생 김지영』과 『쇼코의 미소』를 통해 여성 작가들이 ‘여성의 삶’을 어떻게 그려냈는지 설명한다. 또 1990년대와 2000년대 작가와 비평가들의 활동을 돌아보며 문학 담론장이 ‘페미니즘 문학’을 호명하는 일이 유례없이 나타난 일시적 사태나 우연히 발생한 돌발 현상이 아니라는 점을 짚어 낸다.

  3부과 4부에는 작품론 혹은 작가론으로 묶일 수 있는 글이다. 비평가로서 한 작가의 작품을 보다 깊이 읽어 낸 글들을 모았다. 3부에서는 이주란, 김엄지, 백수린, 정이현 등이, 4부에서는 김애란, 배수아, 윤성희, 권여선, 은희경에 대한 글들이 있다. 이어 5부에서는 김희선, 김경욱, 김성중 등 현실을 비틀어 현실을 말하는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글들을 수록했다.

  6부는 백지은이 문학평론가로서 첫 번째 비평집을 건너온 문학평론에 대한 마음가짐을 드러낸 글들을 묶었다. 백지은은 소설이 쓰인 시대의 사건과 소설을 읽는 독자의 목소리, 무엇보다 소설 그 자체와 자신을 함께 점검한다.

 

 


 

* 《쿨투라》 2021년 11월호(통권 89호) *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