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의 환각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우리의 일상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예술의 세계에도 큰 변화를 불러왔다. 그 중에서도 최근 대화를 이끌어가는 AI 기술 중 하나인 챗GPT와 그것이 아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ChatGPT4, 2023.4.231


“ChatGPT와 AI 아트”에 대해 기사 한 꼭지를 쓰라고 요청했더니, 상기와 같이 상투적인 문구로 시작한다. 고답적이나 제목도 챗GPT가 제안한 것 중에서골랐다. AI 아트 생성기AI Art Generator(이하 ‘생성기’로 표기)는 DeepDream(Google, 2015)으로부터 시작해서 DALL-E(OpenAI, 2021)에 이르며, imageto image와 text to image가 가능해 졌다. NFT art는 ‘블록체인에 대한 오마쥬’라고 간주해도, 이후 미드저니Midjourney를 비롯한 수 많은 생성기가 생겨나면서 미술계는 충격의 도가니에 빠졌다. 그리고서 겪는 챗GPT 돌풍은 오히려 데쟈뷰 현상같다.
챗GPT가 하루하루 다르게 발전한다. 이제 “세종대왕의 맥북 던짐 사건”은 이미 옛이야기가 되었다. 하지만, 좀 더 지능적이고 그럴 듯하게 ‘환각Hallucination’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살아있는 연어”를 동시 생성했는데, [1-1]은 아예 연어 두 토막이 헤엄치고 있다. [1-2]는 생선 모양은 조금 흉내 냈으나 역시 접시에 놓인 살짝 구운 연어를 떠올리게 한다. [1-3]은 어색하기는 하나 살아있는 생선의 형태다. 극단적인 예시이지만, 이것이 AI가 사용하는 빅데이터의 시각적 상황이다. 이러한 ‘환각’이 완치될 수 있을까? 인간의 언어 그 자체는, 라캉이 말한 것처럼, ‘기표가 기의에 닿지 못하고 계속미끄러’지기 때문이다.


본 기사의 전문은 추후 공개됩니다.
1 - ChatGPT의 학습데티터는 2021년 9월까지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최근”은 2021년이며, 이때는 ChatGPT3.5나 4는 상용되지 않았다. - 빙 챗, 구글 바드, 챗GPT와 AI art 생성기는 동시에 똑 같은 프롬프트를 입력해도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오며, 상당히 빠른 속도로 발전하기에 작동 날짜를 명기했다. 이 글에서는 ChatGPT4를 주로 사용했다.

심은록 現 AI 아트 크리틱 & 기획가. 1998년 도불이후 현재까지 프랑스를 거점으로 동서양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다. 프랑스국립과학연구센터(UMR CNRS 8034)의 포닥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파리 유네스코 본부, 평창패럴림픽 등 수십 회 국제전을 기획했으며, 수십권의 단행본을 출간했다. 현재, ‘AI 아트 크리틱’이라는 새 분야의 토대를 설립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 《쿨투라》 2023년 5월호(통권 107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