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호 감독] ‘늘 청년’ 이장호

2024-03-29     이무영(영화감독)

며칠 전 우연히 어느 화가의 전시회장에서 오랜만에 ‘늘 청년’ 이장호 감독을 만나 둘만의 자리를 가졌다. 막걸리 한 병 비웠을 즈음 그가 느닷없이 의미심장한 표정으로 나를 보며 한 마딜 던졌다.

“나는 지금 인생이 끝나도 여한이 없다. 아무런 미련이 없어. 돌아보면 마냥 즐거운 인생이었다.”

아, 어찌 이런 심각한 말을 대수롭지 않다는 듯 툭 내뱉는 인간 이장호를 사랑하지 않으랴! 나이가 들수록 더 가지려 아등바등하고, 조금이라도 더 살려 발버둥치는 게 대부분 인간의 본성일 텐데, 삶에 대한 애착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듯 보이는 모습은 이제 막 환갑에 접어든 나를 꽤나 민망하게 만들었다. 곧바로 나는 자신 없는 심정으로 대꾸했다.

“저는 지금 하신 말씀의 경지에는 못 올랐지만, 추후 지금 감독님 나이와 비슷해질 즈음에는 그렇게 닮아있도록 애쓰겠습니다.”

내가 그토록 닮고 싶은 이장호 감독인데 정작 언제, 어디서 처음 만났는지 전혀 기억이 없다. 나와 그의 중간 또래 선배 몇몇과의 인연으로 비롯된 걸로 희미하게 기억할 뿐이다. 그러나 언제 ‘늘 청년’으로서 그의 존재가 내 마음에 확실히 각인됐는지, 그 순간만큼은 확실히 기억한다.

“위대한 예술은 존중하나 예술가를 숭배하진 않는다”는 모토로 살아온 나에게 영화 〈별들의 고향〉이나 〈바람 불어 좋은 날〉,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등은 불멸의 걸작들이었으나 정작 이장호 감독은 그저 선배 몇몇과 친한 유명인이었을 뿐이다.

그런 나로 하여금 이장호를 ‘늘 청년’이라 일컫게 된 계기는 영화 〈시선〉 제작을 목전에 둔 어느 시점에서의 미팅이었다. 그가 나에게 시나리오에 대한 조언을 청했는데, 그게 어떤 계기로 이루어졌는지는 잘 모른다. 어쨌든 그 자리에서 ‘싸가지 없는 솔직함’이 ‘위선으로 포장한 사탕발림’보다 옳다는 생각에 가감 없이 시나리오에 대한 내 의견을 쏟아냈다.

시나리오에 대한 신랄한 주장을 내뱉으며, 대한민국 영화역사를 대표하는 이 유명영화인이 무척 언짢을 수도 있겠다는 나의 생각은 곧 기우로 판명 났다. 이장호 감독은 내 말 대부분에 동의했고, 제시한 수정방향도 대폭 수용하겠노라고 했다.

자신에 비해 경력도 일천하고 영화적 성공과도 거리가 먼 후배의 말에 귀 기울이고, 또 이를 받아들일 마음의 여유까지 갖춘 이 사람은 과연 누구일까? 그날 이후 나는 영화인으로서가 아니라 인간으로서 이장호의 추종자가 되기로 마음먹었다.

인간 이장호는 이런 사람이다. 모두가 우러러보는 사람이 아니라 빛이 닿지 않는 곳에 웅크린 채 눈을 부릅뜬 누군가를 주목할 줄 아는 사람이다.

바보

영화에서도 마찬가지다. 이장호는 늘 시대의 흐름을 거스르며 다른 방향으로 예술적 물꼬를 트려 애썼다. 올해로 50주년을 맞는 〈별들의 고향〉은 당시 영화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던 작품이었고, 〈바보 선언〉과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는 기존의 영화문법을 허물고 그 자리에 새로운 흐름의 말뚝을 박으려 했던 몸부림의 산물들이었다.

이장호의 작품세계가 그저 예술지향적인 것만은 결코 아니었다. 군사독재로 암울했던 시절 〈바람 불어 좋은 날〉과 〈어둠의 자식들〉은 예리한 시선으로 당시 사회상을 고발함과 동시에 따스한 시선으로 한반도 공동체 일원들의 아픔을 위로했던 걸작들이다.

이렇게 말하고 보니 인간 이장호를 늘 ‘새로움’과 ‘따스함’으로 세상과 타인에게 다가가려 했던 영화인이라 일컬을 수 있을 듯하다. 그는 자신이 창조려는 캐릭터를 위해 언제나 새로운 배우를 찾으려 했고, 자신의 선택에 수절하려 했다. 모두가 의심에 찬 눈으로 고개를 갸우뚱해도 옳다 믿으면 끝까지 자신이 뽑은 배우를 신뢰하려 애썼다.

영화 〈일송정 푸른 솔에〉에서 눈여겨본 무명의 이보희와 김명곤을 〈바보 선언〉의 주연배우로 전격 발탁한 그 객기는 아무나 부릴 수 있는 게 아니다. 이장호와 여러 작품에 출연한 한 배우는 다음과 같이 이장호를 평가했다.

“이장호 감독은 모두가 주목하는 잘난 사람보다 늘 그늘 속에 가려진 인물들을 바라보려고 해요. 그리고 거기서 뭔가 그럴싸한 걸 찾아내는 눈을 갖고 있는 사람이에요.”

그런 이장호가 어느 날 문득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이무영, 너는 완전 짐승이야.”

나는 그 말이 어둠 속에 웅크린 채 이글거리는 눈으로 세상을 보는 어느 별 볼일 없는 작가를 향한 격려요, 동시에 따스한 시선임을 잘 안다. 나 또한 그가 짐승의 눈과 마음으로 반세기를 살아온 예술가임을 잘 안다. 짐승끼리는 서로 알아보는 법이니까.

이처럼 인간으로서 또 영화인으로서 매우 그럴싸한 이장호이지만 그도 결코 세월을 이길 수는 없는 법이다. 마음은 ‘늘 청년’이라지만 이제 육신은 노색이 역력하다. 도둑처럼 눈발이 그의 머리를 찾아온 사이 군홧발 아래 모두가 신음하던 시절, 대한민국 영화의 자존감을 세워준 걸작 〈별들의 고향〉도 지천명을 맞았다.

올해로 탄생 50주년을 맞은 〈별들의 고향〉은 단연코 대한민국 영화 역사상 가장 중요한 기념비적 작품 중 하나이다. 약 1백 년 전 영화 〈아리랑〉(1926)이 한반도 민초들의 나라 잃은 설움을 위로했다면, 〈별들의 고향〉은 무조건적으로 할리우드와 일본영화를 숭배하던 사대적 흐름을 배격하며 대한민국 영화계의 자긍심을 사방에 떨친 불멸의 작품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무려 7년 이상 신상옥 감독 연출부 생활을 했던 이장호는 이 영화로 단박에 대한민국 청년문화의 기수로 떠올랐다. 그리고 지난 50년간 변함없이 세월의 흐름을 거스르며 매 작품마다 ‘청년다움’을 실천하며 살아왔다.

모르는 이들은 이장호가 영화 한 편으로 매우 쉽게 스타덤에 올랐다고 생각한다. 친구(최인호 작가) 하나 잘 만나서 성공가도에 무임승차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참으로 우스운 얘기다.

나는 안다. 그가 어떤 인고의 과정의 걸쳐 영화 〈별들의 고향〉을 세상에 선물할 수 있었는지, 얼마나 많은 이들의 욕망과 배신을 이겨내고 마침내 이 명작을 완성했는지 말이다.

이 아름다운 계절, 덧없이 흐르는 세월이 인간 이장호를 우리에게서 떼어놓기 전에, 야속하게 흐르는 이 봄날이 다 가기 전에, 영화 〈별들의 고향〉 50주년을 기념함과 동시에 영원한 청년영화인 이장호의 삶을 숭배하도록 하자.

왼쪽부터

이장호 감독님, 당신을 향한 제 마음은 50년 전 한국 영화역사의 벽을 뚫고 나왔던 영화 〈별들의 고향〉 수록곡 〈나 그대에게 모두 드리리〉의 노랫말에 다 담겨있습니다.

“나 그대에게 드릴 게 있네.
오늘밤 문득 드릴 말 있네.
나 그대에게 모두 드리리.
터질 것 같은 이 내 사랑을.”

감사합니다, 영화 〈별들의 고향〉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오랜 세월 동안 단 한 차례도 ‘늘 청년’의 모습을 배반하지 않아주셔서.

그래서 사랑합니다, 터질 것 같은 마음으로.

이것이 오늘 당신을 향한 제 앙모의 고백입니다.

 

 

 


이무영 대중음악평론가, 영화감독, 시나리오 작가, 소설가, 방송인, 대학 교수 등 각기 다른 분야의 어떤 타이틀을 붙여도 충분히 설명이 되는 아티스트다. 어느 시점부터 영화인으로서의 존재감이 더 부각되기 시작한 이무영은, 시나리오 작가로 〈본투킬〉, 〈공동경비구역 JSA〉, 〈복수는 나의 것〉, 〈소년, 천국에 가다〉 등의 시나리오를 썼고, 연극 〈선데이 서울〉의 각본을 쓰기도 했다. 영화감독으로 〈휴머니스트〉, 〈철없는 아내와 파란만장한 남편, 그리고 태권소녀〉, 〈아버지와 마리와 나〉, 〈저스트 키딩〉, 〈한강블루스〉를 만들었다. 영화에 대한 변함없는 애정으로 동서대 임권택영화예술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영화를 가르치고 있다.

 

* 《쿨투라》 2024년 4월호(통권 118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