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호 감독] 한국 리얼리즘 영화의 물줄기와 이장호의 행보: 〈바람 불어 좋은 날〉, 〈과부춤〉, 〈어둠의 자식들〉
[이장호 감독] 한국 리얼리즘 영화의 물줄기와 이장호의 행보: 〈바람 불어 좋은 날〉, 〈과부춤〉, 〈어둠의 자식들〉
  • 문학산(부산대 예술문화영상학과교수, 영화평론가)
  • 승인 2024.04.01 10: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출발은 좁쌀에서 시작하여 끝은 공룡처럼 창대해진다. 반대로 출발은 잠실 종합운동장의 주경기장에서 비롯되었지만, 결승점은 이름없는 골목의 막다른 길에서 끝나는 레이스도 있다. 전자와 후자의 중간은 출발을 산 정상에서 시작하여 중간에 내리막길을 치닫다가 나중에는 다시 정상으로 오르는 상승과 하강의 곡선운동이다. 이장호의 행보는 정상에서 출발하여 깊은 계곡으로 추락하였다가 다시 수직으로 상승하여 정상을 밟고 다시 완만한 내리막길을 걷다가 다시 정상을 향하는 곡선의 궤적을 보인다.

화천공사 제공.

1965년 메이저 영화사 신필름 입사와 1974년 〈별들의 고향〉의 성공으로 첫 출발점이 정상을 찍었다. 대마초 흡연 혐의로 감독직 박탈은 추락의 끝을 입증하였다면 〈바람 불어 좋은 날〉(1980)로 복귀는 다시 정상을 향하는 걸음을 보여준다. 〈어둠의 자식들〉, 〈과부춤〉은 상승 곡선에 자리하거나 능선을 밟고 전성기의 완만한 곡선을 그어나간다. 이장호의 산업적, 작가적 행보가 정상과 바닥의 왕복운동에 가깝다면 작품의 경향은 리얼리즘과 멜로드라마를 기반으로 한 에로티시즘 자장 사이에서 파동한다.

1974년 4월 개봉한 〈별들의 고향〉의 흥행은 1970년대의 청년문화와 신파성이라는 시대 분위기를 흡수한 에로티시즘과 멜로드라마의 합작품이다. 유신시대에 감독직에서 박탈되고 1979년 12월에 복직되어 〈바람 불어 좋은 날〉로 충무로에 귀환하면서 동시에 1980년대 한국 리얼리즘의 새로운 좌표를 찍었다. 1970년대 지배문화는 〈별들의 고향〉의 문오와 경아가 만났던 카페에서 들었던 통기타 음악과 그들이 입은 청바지 그리고 낭만적 청춘이었다면 1980년대 〈바람 불어 좋은 날〉은 도시노동자가 주인공인 민중이라는 새로운 계급의 울분과 저항을 탑재한다. 부상하는 민중문화는 한국 영화에 수혈되어 리얼리즘과 민중영화로 명명된다.

화천공사 제공.
화천공사 제공.

1970년대 청년문화는 〈바보들의 행진〉(1975), 〈영자의 전성시대〉(1975)와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영상시대라는 에꼴을 결성하여 예술로서의 영화를 사유했다. 영화 외곽에는 한글세대 젊은 비평가인 문학주의자 김병익, 김현이 이끄는 《문학과지성》 편집위원 그룹이 한 날개를 이루고 다른 날개는 민중주의를 실천하는 염무웅, 백낙청의 《창작과비평》 편집위원이 포진했다. 문학주의와 민중주의의 학익진에 의해 이장호 감독은 지적인 열매를 섭취하고 염무웅의 저서 『민중시대의 문학』(창작과 비평, 1979)과 운명적으로 만나게 된다. 염무웅은 “훌륭한 예술작품의 놀라운 점은 그것이 작가로부터 나오는 것이면서 동시에 작가가 살고있는 사회현실 자체로부터 나온다”는 점을 강조하는 리얼리스트이면서 민중주의자였다.

화천공사 제공.
화천공사 제공.

1980년대 담론 앞 자리에 민중과 민족이라는 명사가 늘 자리했다. 민중영화는 동시대 한국사회의 모순을 직시하고 노동자, 농민이 중심이 되어 사회변혁을 이끌어야 한다는 당위의 문장에 충실하였다. 이장호 감독은 〈바람 불어 좋은 날〉과 〈어둠의 자식들〉, 〈과부춤〉으로 성실히 화답하였다. 소설가 이문구와 소설가 송기원이 화성에서 작업실을 마련할 때 그곳을 방문한 이장호 감독은 ‘농촌의 실상과 농민들의 살아있는 모습’을 직접 목격하고 새로운 연출 방향에 눈을 뜬다.

 

 

본 기사의 전문은 추후 공개됩니다.

 


문학산 (본명 문관규) 부산대 예술문화영상학과 교수, 영화평론가. 전 한국영화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부산대 영화연구소 소장. 현재는 동아시아 영화의 에피스테메와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불교 영화에 대한 저서를 집필 중. 저서로 『거장의 나무』 『한국독립영화감독연구』 『10인의 한국영화 감독』 『동아시아 영화정신의 무늬』, 공저로 『부산영화촬영지답사기』 『부산영화사』 『다시 한국 영화를 말하다』 등이 있다.

 

* 《쿨투라》 2024년 4월호(통권 118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