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분단과 전쟁의 역사를 기억하는 여성들의 탈경계적인 스토리텔링
[베를린] 분단과 전쟁의 역사를 기억하는 여성들의 탈경계적인 스토리텔링
  • 이향진(일본 릿쿄대 교수, 베를린 자유대 글로벌학부 한국-유럽연구소)
  • 승인 2023.03.02 09: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orean Cinema with Hyangjin Lee 2023 in Berlin

베를린의 북쪽 끝, 길을 걷다 보면 낯익은 정자 뒤로 자그마한 장독들과 돌하르방이 보인다. 베를린 자유대학 한국학과다. 그곳에서 〈Korean Cinema with Hyangjin Lee 2023〉이 2월 13일부터 15일까지 열렸다. 남북한, 재외 한인 감독들의 작품, 외국감독들의 ‘한국’ 영화를 상영하고 소통하기 위해 시작한 미니영화제로 올해가 2회 째다. 2023년은 분단과 전쟁의 역사를 기억하는 여성들의 탈경계적인 스토리텔링을 주제로, 네 편의 작품 상영, 감독과의 대화, 강연, 라운드 테이블 토론으로 3일간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영화는 현대 인문학 연구에 빠질 수 없다. 국가, 민족과 인종, 계급, 젠더와 성적 정체성을 가르는 경계를 넘어 소통하며 동시에 사회적 약자에 대해 가해지는 폭력을 정당화하는 모든 차별과 편견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소통에서 플랫폼으로 진화한 SNS는 보다 많은 이들이 영화를 보고 글을 쓰고 토론을 하는 문화 살롱의 역할을 한다. 영화의 인문학적 탐색이 일상의 즐거움이 되었다. 관객 중심의 영화 비평 시대이다.

1990년대 중반의 코리안 뉴웨이브, 2000년대의 뉴 코리안 시네마의 등장으로 한국영화가 글로벌 사회의 인문학 연구주제로 떠올랐다. 구로자와 아키라와 오즈 야스지로를 서구에 알리며 일본영화 연구의 초석을 마련했던 도널드 리치의 『일본영화: 예술과 산업』이 1959년에 미국 프린스턴대학에서 출판되었으니 거의 40여 년의 시간이 흐른 뒤였다. 한국영화에 대한 글쓰기는 곧 온라인 미디어와 SNS 토론으로 이어졌고 창작자와 관객들의 소통이 영화문화의 소중한 부분이 되었다. 거기에 멜로드라마든 코미디든 장르에 상관없이, 종합선물 세트같이 전방위적인 사회 비평을 하는 한국영화의 도발적인 대중성은 비록 상업적 의도가 의심되긴 하나, 관객들이 약자인 주인공의 편에 서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며 보편적인 자본주의 사회 비판으로 글로벌 공감을 확산시킨다.

〈Korean Cinema with Hyangjin Lee〉는 이들처럼, 독일과 유럽에서 한국학을 전공하는 학생, 차세대 한국학 연구자들, 그리고 베를린영화제와 홍상수 감독으로 한국영화에 친숙해진 베를린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다. 팬데믹 시대를 지나며 한국영화의 글로벌 확장은 더욱 가시화되었다. 글로벌 OTT서비스 덕분에 베를린에서도 드라마와 영화의 경계가 미미해졌고, K-팝 팬, 한류 드라마 시청자가 코리안 시네마 관객으로 경계넘기를 하고 있다.

 

본 기사의 전문은 추후 공개됩니다.

 


이향진 하버드대학 방문교수, 셰필드대학 동아시아학과 교수 등 역임, 일본 릿쿄대학 문화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남북한 및 일본 영화와 대중문화를 연구하고 있으며 영화제 디렉터 활동. 『현대한국영화: 문화, 아이덴티티, 그리고 정치학』 『한류의사회학: 팬덤, 가족, 다문화주의』 등이 있다.

 

* 《쿨투라》 2023년 3월호(통권 105호) *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