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호 감독] 미장센의 승리: 〈별들의 고향〉 50주년에 부쳐
[이장호 감독] 미장센의 승리: 〈별들의 고향〉 50주년에 부쳐
  • 방민호(문학평론가, 서울대 국문과 교수)
  • 승인 2024.03.29 15: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75년 이장호 감독과 지인들이 서울 서교동에 위치한 고 최인호 작가의 집 앞에서 찍은 사진이다. ⓒ이장호

모두 알듯이 이장호 감독과 작가 최인호는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동창이었다. 이장호 감독이 1972년 당시 장안의 지가를 올린 최인호의 『별들의 고향』을 이 동창의 권리로써 영화 제작 판권을 얻어낸 일은 잘 알려져 있다. 두 예술가의 동반자적 관계는 최인호가 불행히 이르게 세상을 떠날 때까지 계속 되었다.

이러한 두 사람의 관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이 이장호 감독의 초기 영화 〈별들의 고향〉과 〈어제 내린 비〉의 두 작품이다. 〈별들의 고향〉은 동명의 소설을 영화로 만든 것이고 〈어제 내린 비〉는 최인호의 또 다른 문제작 『내 마음의 풍차』를 작가 김승옥의 각색을 거쳐 영화화한 것이다.

화천공사 제공.

최인호의 소설이 빨리, 널리 알려진 만큼, 신상옥 감독의 그늘 밑에서 잡일을 이어가던 이장호 감독의 성공은 친구의 덕택으로 이야기 되곤 했다. 이장호 감독 또한 여러 곳에서 같은 뜻으로 이야기한 바 있다. 그러나 영화의 성공은 그렇게 단순하게 많은 논단될 수 없을 것이다.

1950-1970년대 영화를 보면 세계적으로 소설에 원작을 둔 것이 많다. 그런데 이들 영화들은 대부분 원작 소설 전체를 영화로 옮긴다기보다는 그 일부를 옮기거나, 전체의 줄거리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옮겨놓은 듯한 양상을 보이는 작품들이 많다. 영화는 보여주는 예술이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소설이 보여주는, 보이지 않는 것들을 보여주기가 어렵다. 이것이 영화의 어려움이고, 바로 그 때문에 영화는 소설을 전체적으로 새롭게 옮겨놓기 어려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설은 언제나 영화의 원천으로 작용해 왔고 특히 1950-1960년대 영화에서는 그렇다고 할 수 있다. 바로 이 때문에 그 시대의 영화들은 소설 원작의 깊이나 넓이에 많은 것을 의지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남긴다.

국제영화흥업주식회사 제공.

최인호의 소설이 어떤 문학사적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충분한 논의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별들의 고향』만 해도 단적으로 그런 예의 하나라고 할 수밖에 없다. 처음부터, 아예 읽지도 않은 사람들은 이 소설을 그 시대의 흔한 통속극 정도로 치부하고 만다. 그러나 이 소설을 가리켜, 보다 낫게, 도시가 망쳐놓은 여자에 관한 이야기라 한다 해도 이 작품의 비밀을 다 풀어헤쳤다 할 수 없다.

〈어제 내린 비〉 국제영화흥업주식회사 제공.

이 소설은 작중 미술학도 문오와 경아가 서로의 분신임을 독자들에게 반복해서 환기시킨다. 그리하여 이 소설은 문오가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경아의 희생을 딛고서야 세속적 삶의 메커니즘 어느 한 귀퉁이에 자기 실존의 근거를 마련하게 되는 이야기가 된다.

이렇게 작중인물들이 일종의 ‘더블’, 분신적 존재로 나타나는 전형적인 최인호 소설의 하나가 바로 『내 마음의 풍차』다. 이 소설이 단행본으로 출간될 때 감동어린 해설을 붙인 김병익은 이 소설에 등장하는 형과 아우를 “동전의 양면”이라 갈파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사실은 “더블”이다. 이 소설은 영후 영민, 두 배다른 형제의 이야기다. 아버지가 ‘첩’에게서 낳은 아들인 영후는 고등학생이 된 후에 아버지가 본처와 함께 사는 집에 들어간다. 이 집에는 원래 형제가 있었는데, 형은 월남전 나가서 죽고, 외출하지 않고 장난감 도시를 만들어 놓고 혼자 놀기를 좋아하는 동생만 있다. 이야기는 배다른 형 영후의 내레이션으로 이끌어지는데, 영후는 이 집의 모든 것을 다 훔쳐버리겠다고, 파괴하겠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소설 끝에 가면 영후는 끝내 그렇게 하지 못하고 친어머니가 혼자 살아가는 ‘원래’의 집으로 돌아간다. 하나, 달라진 것이 있는데, 이는 한명숙이라는, 자신의 아이를 가진 여자를 그 집으로 초대하면서라는 점이다.

〈별들의 고향〉 화천공사 제공.

 

 

본 기사의 전문은 추후 공개됩니다.

 


방민호 1965년 충남 예산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1994년 《창작과 비평》 제 1회 신인 평론상을 수상하면서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문학 평론집으로 『문학사의 비평적 탐구』 『감각과 언어의 크레바스』 『행인의 독법』 『문명의 감각』 『납함 아래의 침묵』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가 있다. 2001년 《현대시》로 시창작 활동을 시작했고 시집으로 『숨은 벽』 『내 고통은 바닷속 한방울의 공기도 되지 못했네』 『나는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가 있다. 2012년 《문학의 오늘》에 「짜장면이 맞다」를 발표하면서 소설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로 『대전스토리, 겨울』 『연인 심청』이 있으며 창작집으로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답함』이 있다. 산문집으로 『서울문학기행』 『명주』가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쿨투라》 2024년 4월호(통권 118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